본문 바로가기

빠르게 실패하기

by 우보틀 2025. 2. 2.

계속 우선순위 상관없이 미루고 미루고 미루던 일들이 너무 많이 쌓였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눈길이 갔던 책, 스스로에게 자극을 주자는 의미에서 선택했던 책이었다.

책의 메시지에서 큰 영감을 받을 정도로 특별하게 와닿았던 메시지는 없었지만,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지금의 나에게 꽤 큰 자극을 주고 있다.

완벽주의를 무시하고 빠르게 실패하는 전략들을 취해 작은 성공들을 거둔 다양한 사례들을 책에서는 소개해주고, 이 작은 성공들이 큰 성공으로 커가는 모습까지 간략하게 보여준다.

나의 완벽주의가 내 실력에 비해 앞서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따라잡을 수 있는 지름길을 알려준 건 아닐까 하는 문장을 담아본다.

 

* 빠르게 더 자주 실패하라 

=> 성공하는 사람들은 빠르게 실패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최대한 빨리 '실패를 없애버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 그들은 실수나 실패를 피할 방법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쓰지 않는다. 오히려 능력과 지식의 한계를 드러낼 기회를 열심히 찾아다닌다. 이 행동은 그들을 무엇이든 재빨리 배우게 만든다. 그리고 미숙한 준비야말로 성장을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깨닫게 한다.

==> 최근에 시작전에 너무나 많은 고민을 하여 시작 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 책을 읽고 그냥 생각없이 도전했고 3시간 만에 큰 줄기를 완성했다. 내 완벽주의가 행동을 막고 있는 상황을 타파해내고 싶다

 

* 기분을 움직이는 작은 행동

=> 복잡한 프로젝트를 맡아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면, 우선 가장 쉬운 작업부터 몇 분 동안 해보라

==> 꼭 실천 해보기

 

* 무엇을?에 대한 질문은 현 상황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른 가능성들을 탐험하도록 돕는다

=> ex) 인생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새로운 일들은 무엇일까?

현재 무시하고 잇는 가장 큰 우선순위는 무엇일까?

지금 나를 정말 힘들게 하는 건 뭐지?

정말 두려워하는 게 무엇이고 버려야 할 것들은 또 무엇일까?

 

* 왜?라고 묻는 것은 의식하지 못하고 있던 가정들, 스스로 정해버린 제한들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된다.

=> ex) 왜 자신이 성공한 것 같은 기분이 별로 들지 않는 걸까?

왜 이렇게 수입이 부족할까?

왜 그렇게 위험을 감수하기가 싫은 걸까?

부모님과 친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왜 그렇게 신경 쓰는 걸까?

왜 겨우 그 정도록 만족할까?

직장이 그렇게 싫으면서 왜 그만두지 못할까?

왜 그렇게 자책을 자주 할까?

왜 내 자신이 준비가 안되었다고 느낄까?

왜 기다리고만 있을까?

왜 내 자신이 부족하다고만 여길까?

나를 불행하게 하는 걸 알면서도 특정 행동을 왜 반복하는 걸까?

 

* 성공 그리고 즐거움과 행복의 답을 우리는 '작은 행동'에서 찾았다

1. 즐거움의 요소를 잊지 말자

=> 이 책을 통해 삶을 즐거움으로 채워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즐거운 경험은 즐겁지 않은 경험을 대적하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아군과 같다

2. 가능한 한 빨리 어떤 일이든 실패하고 망쳐보라!

=> 성공하는 사람들은 일부러 자신의 능력과 지식의 한계에 부딪힐 수 있는 상황을 찾는다.

==> 닥치고 해보자

3. 일상의 패턴에서 벗어나라

=> 기회나 아이디어는 새로운 활동을 하거나, 낯선 곳을 탐험하거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때 마주칠 수 있다.

==> 메모어에서의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은 긍정적인 자극을 내게 주는 것 같다

4. 계획을 세우지 마라

=> 오늘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라. 당신의 관심사나 포부와 고나련된 작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라.

==> 일단 조그맣게 투자 시작

5. 자신감을 얻고 싶다면 바로 행동해보라! 어쨋든 행하라

=> 자신감을 얻고 기분을 향상시킬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행동하는 것이다.

==> kpop 댄스 도전 해보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박함을 버린 남자들  (0) 2025.02.05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0) 2025.02.05
일류의 조건  (1) 2025.02.02
왜 일하는가  (0) 2025.02.02
비트겐슈타인의 말  (1)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