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이번 주는 미중 관세 협상과 글로벌 증시 변동, AI 연구 인프라 이슈, 스테이블 코인 활용 증가, 저축은행 금리 인상, 서울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급등, 한미 환율 협의, 삼성전자 ETF 해외 상장, 미-중 해상 운임 급락,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하락, 면화값 급락 등 굵직한 경제 이슈가 집중되었습니다.
특히 미중 상호 관세 인하 합의와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발표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며,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되는 한 주였습니다.
🗓️ 5월 12일 (월)
🇺🇸🇨🇳 미국/중국 관세 협상
- 미국, 대중 관세 30% 부과
- 중국, 대미 관세 10% 부과
- 90일간 상호 협의 진행
- 다우존스 등 글로벌 증시 요동
- 미국·중국·스위스에서 마라톤 협상, 트럼프 "상당한 진전" 언급
🤖⚡ AI 연구, 전기요금·GPU 부족에 발목
- AI로 인한 전기 사용 급증
- 서울대·카이스트 등 주요 대학, 전기요금 부담에 연구 차질
- 엔비디아 고성능 GPU 보유: 고려대 2개, 서울대 0개
- 연구 경쟁력 저하 우려, 대책 마련 필요
🗓️ 5월 13일 (화)
🤝📉 미중, 상호관세 대폭 인하
- 미중 양국, 관세 대폭 낮춰 시장 환호
- 증시 반등세
🏠📈 세종시, 대선 앞두고 집값 요동
- 물가 상승률 전국 최고
- 공공기관 법인카드 사용이 물가 상승률 자극
💸🪙 스테이블 코인 활용 증가
- 달러 등 기존 화폐에 가치 고정된 암호화폐
- 임금·식당 결제 등 실생활 활용 확대
🗓️ 5월 14일 (수)
🏦🔼 저축은행 금리 인상, 시중은행은 인하
- 만기 도래 고객 자금이탈 방지 목적
- PF·연체율 관리로 자산 확대 어려운 상황 반영
⚛️🔧 한수원, 원전 독자 모델 개발 착수
- 신형 원자로 개발 돌입
- 미국 설계 의존 탈피, 시장 점유율 확보 목적
🏚️🚨 서울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3년 만에 5배 급증
- 코로나 저금리 시대 '영끌족' 영향
- 고금리 장기화로 연체율 급등
🗓️ 5월 15일 (목)
💱🇰🇷 한미 당국, 밀라노서 ‘환율’ 협의
- 원화 절상 압박, 달러 약세·원화 강세 유도
- 최근 원화 가치 급등과의 연관성 주목
📈🇭🇰 삼성전자 단일 ETF, 홍콩 증시 상장 예정
- 2배 레버리지/인버스 ETF
- 국내 ETF 규제와 달리 단일 종목 가능
- 해외주식 투자 시 세금·환율 변동 리스크 고려 필요
🚢📉 미-중 해상 운임 반토막
- 작년 대비 60% 수준
- 관세 전쟁 여파, 해운사 대체 루트 확보
- 컨테이너 운임, 3개월 단위로 변동
🗓️ 5월 16일 (금)
📉🛒 미국 4월 생산자물가지수, 5년 만에 최대폭 하락
- 전월 대비 0.5% 하락
- 유통 서비스 마진 감소, 업체들 재고 소진에 주력
🧵💸 면화 값 3년 만에 반토막
- 작황 호조, 소비 부진 영향
- 면화, 더운·습한 기후에서 잘 자람
📱🇮🇳 트럼프, 인도 아이폰 생산에 제동
- 애플의 생산기지 이전 계획에 미국 내 생산 요구
- 미국 생산 시 아이폰 가격 급등 우려
🚗🇯🇵 일본, 미국산 일본차 역수입 카드 고심
- 관세 협상 앞두고 전략 검토
- 일본차, 대미 교역의 30% 차지하는 효자상품
📌 이전 주 경제 이슈도 궁금하다면?
👉 5월 둘째 주 경제 이슈 보러가기
728x90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5월 다섯째주 경제 이슈 (6) | 2025.05.31 |
---|---|
📅 2025년 5월 넷째주 경제 이슈 (4) | 2025.05.30 |
📅 2025년 5월 첫째주 ~ 둘째주 경제 이슈 요약 | 워렌버핏 은퇴, 기준금리 동결, AI 반도체 규제 완화까지 (4) | 2025.05.13 |
📅 2025년 4월 경제 이슈 총정리 | 주간 흐름 한눈에 보기 (5) | 2025.05.04 |
4월 넷째주 ~ 5월 첫째주 경제 이슈 요약 | SKT 해킹, 감세 축소, 美 GDP 역성장 등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