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혼선부터 선박 탄소세, 엔비디아 수출 제한까지
이번 주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 혼선, 선박 탄소세 도입,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 제한 등 글로벌 이슈가 국내 산업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내에서는 정부의 추가 추경 편성, 조선·에너지·유통 업계의 움직임 등이 눈에 띕니다. 핵심 경제 흐름을 빠르게 정리해보세요.
4월 14일 (일)
🇺🇸 미국, 전자제품 관세 발표 혼선
- 11일: 전자제품 관세 면제 발표
- 13일: 트럼프, 해당 품목은 관세 예외 아님 발언
- 국내 영향: 포스코와 현대제철, 미국 공장 투자 검토
- 현대제철: 루이지애나 제철소 설립 추진
- 포스코: 공동 투자 검토 중
🇺🇸 미국도 관세 압박의 역풍을 맞을까?
- 단일 품목은 대체 불가 → 미국 내 물가 상승
- 자동차 등 경쟁 품목은 미국산 대체 가능 → 해외 업체는 마진 감소 불가피
4월 15일 (월)
🚢 선박 탄소세 도입 확정 (2027년 시행)
- 온실가스 1톤당 최대 380달러 부과
- 기존 해운업계엔 악재, 친환경 전환 수요로 한국 조선업계에겐 호재
🛒 오아시스, 티몬 인수 예정
- 오아시스가 200억 원에 티몬 인수 추진
- 큐텐 인수 당시에는 2,000억 원 가치 평가
- 이번 인수로 미수금 업체들은 일부 금액 회수 가능 (약 0.04%)
- 큐텐 대표 구영배는 현재 재판 중, 혐의는 부인
🗺️ 구글, 한국에 정밀 지도 데이터 요청
- 영향: 카카오, 네이버, 티맵 등 국내 3대 지도 서비스
- 카카오: 건물 입구 등 정밀 정보 → 배달업체에 제공해 수백억 수익
- 티맵: 벤츠·볼보 등 차량 제조사에 정밀 지도 제공
4월 16일 (화)
💸 정부, 추경 2조 추가 편성
- 총 추경 규모: 10조 → 12조 원 확대
- 사용처:
- 재해·재난 대응: 3조 원 이상
- AI·통상 경쟁력 강화: 4조 원 이상
- 민생 지원: 4조 원 이상
🇺🇸 트럼프,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 제한 압박
- 저사양 AI 반도체도 중국 수출 금지 추진
- 엔비디아 주가 6% 급락
💄 K-뷰티, 인기 속 경쟁 심화
- 인기는 여전하지만 베끼기와 폐업 사례도 증가
4월 17일 (수)
🇨🇳 미중 간 관세 공방 심화
🏦 산업은행, 대출 여력 5조 원 감소
- HMM 보유 사채 → 주식 전환으로 인해 이슈 발생
- 은행이 특정 기업 지분 15% 넘을 경우 위험가중치 상승 → 자기자본비율 하락 → 대출 여력 감소
- 배경: 2020년 HMM 부도 방지를 위한 산은·해양진흥공사 사채 인수
🌬️ 풍력발전업계, 정부 입찰서 발 빼
- 고정가격계약 상한제 → 현실과 괴리된 낮은 입찰 상한선 탓
🌞 태양광 제품, 미국 수출 관세 면제 발표
4월 18일 (목)
🇺🇸 미국, 중국과 관세 협상 중
- 3~4주 내 타결 예상
- 미국: 딥시크에 엔비디아 칩 사용된 사례 언급 → 고성능 칩 수출 제한 압박
- 싱가포르 등 제3국을 통한 유출 가능성도 문제로 지적
💴 일본 정부, 전국민 현금 지원 논의 철회
- 포퓰리즘 우려 및 효과성 부족 이유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제동
- 주주 대상 정보 제공 부족 등 이유로 제동
📌 지난주 경제 이슈가 궁금하다면?
👉 4월 둘째 주 경제 이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