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현실의 쓸모에 기초한다
=> 우리의 목적이 즐겁게, 나다운 인생을 살면서 행복해지는 데 있다면 지식이나 기술을 몸에 익히는 일의 의미도 궁극적으로는 '그렇게 해서 즐겁게 살 수 있는가?' 또는 '행복해질 수 있는가?'의 관점에서 판단되어야 한다.
8️⃣ 불확실한 것에 매력을 느끼는 인간의 본성
=> 행위는 그 행위로 인한 대가가 반드시 주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을 때보다도 대가가 불확실하게 주어질 때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ex. 무엇이 올라왔을까 계속 확인해보는 sns, 계속 들어가보는 인터넷 커뮤니티)
1️⃣1️⃣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일수록 인맥이 넓지 않다.
- 현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각하고 쾌적한 관계를 유지 => 소망, 불안등에 기인해 예견하지 않는다. 미지/애매한 것에 흥미를 느낌
- 자연을 비롯해 자신과 타자를 수용 => 인간성의 약점, 죄책감, 유약함, 사악함을 받아들일 수 있다.
- 자발성, 단순함, 자연스러움 => 행동, 사상, 욕구에 자발적이다. 거짓을 꾸미거나 결과를 노리느라 긴장하는 일이 없다.
- 과제 중심적 => 철학적, 윤리적인 기본 문제에 관심이 있다. 폭넓고 보편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일을 한다.
- 초월성 - 프라이버시의 욕구 => 혼자 있어도 상처받거나 불안해하지 않는다.
- 자율성 - 문화와 환경으로부터의 독립 * 능동적 인간 => 자기 발전과 성장을 위해 자신의 가능성과 잠재 능력을 믿는다
- 언제나 새로운 인식 => 항상 신선하고 천진하게 인식하고 재미를 느낀다
- 신비로운 경험 - 최고의 체험 => 신비로운 체험을 갖고 있다.
- 공동체 의식 => 인류에게 화가 나거나 실증이 날 때도 잇지만 동경과 애정을 느낀다.
- 대인 관계 => 마음이 넓고 깊은 대인 관계를 유지한다. 소수의 사람들과 특별히 깊은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
- 민주적인 성격 구조 => 계급이나 교육제도, 정치적 신념, 인종 등에 관계없이 자신과 잘 맞는 성격의 사람과는 누구와도 잘 지낸다
- 수단과 목적의 구별, 선악의 구별 => 윤리적, 도덕기준을 가지고 있음, 수단보다 목적에 마음이 끌린다.
- 철학적이고 악의 없는 유머 감각 => 악의 있는 유머에는 웃지 않는다. 그들이 유머라고 인정하는 것은 철학적이다.
- 창조성 => 특수한 창조성 등 발명의 재능을 갖고 있다. 그 창조성은 건강한 아이의 것과 같은 종류다.
- 문화에 편승하기를 거부 =>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 속에서 잘해 나가지만, 깊은 의미로 문화에 편승하는데 저항한다. 스스로의 규제에 따른다.
1️⃣6️⃣ 끝까지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있는가?
=> 어떤 사람의 판단을 정말로 신뢰할 수 있는 경우, 그 사람이 신뢰를 받게 된 것은 자신의 의견과 행동에 대한 비판을 항상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어떤 반대 의견에도 귀를 기울이고 옳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가능한 한 받아들였으며, 잘못된 부분은 어디가 잘못 되었는지를 스스로도 되짚어 보고 가능하면 다른 사람에게도 설명하기를 습관으로 실천해 왔기 때문이다. 한 가지 주제라도 그것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다양한 의견을 두루 듣고 사물을 모든 관점에서 살펴보는 방법밖에 없다고 느껴 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이외의 방법으로 진리를 얻은 현인은 없으며 지성의 특성을 보더라도 인간은 이 이외의 방법으로는 현명해질 수 없다.
3️⃣7️⃣ 보이지 않는 노력도 언젠가는 보상받는다는 거짓말
=> 세상은 결코 공정하지 않다. 그러한 세상에서 한층 더 공정한 세상을 목표로 싸워 나가는 일이 바로 우리의 책임이요, 의무다. 남 모르는 노력이 언젠가는 보상받는다는 사고가 인생을 망칠 수도 있다는 것을 반드시 명심하자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의 격 (0) | 2023.02.24 |
---|---|
린치핀 (2) | 2022.12.05 |
성공한 사람들의 기상후 1시간 (0) | 2022.02.07 |
하버드 새벽 4시 반 (1) | 2022.01.09 |
오늘처럼 내가 싫었던 날은 없다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