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Javascript Don't Use Javascript Variables Without knowing Temporal Dead zone (번역글 + 생각) 💀

    Javascript Don't Use Javascript Variables Without knowing Temporal Dead zone (번역글 + 생각) 💀

    아래 출처의 글 중 일부를 번역하고 제 생각을 넣은 글입니다. 의역과 오역을 자주 사용합니다. 아래의 코드중 어떤 코드가 에러를 발생시킬 것 같나요??? 아래의 코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사용된 클래스를 정의합니다. new Car('red'); // 동작할까요?? class Car { constructor(color) { this.color = color; } } 두번째는 호출을 한후에 함수의 정의를 합니다. greet('World'); // 동작할까요? function greet(who) { return `Hello, ${who}!`; } 첫번째 코드는 ReferenceError를 발생시킵니다. 두번째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구요 만약 답변하지 못했거나 틀렸다면 Temporarl Dead Zone..

    React theStateReducerPattern (번역글) 🤔

    이 포스트는 아래 출처의 글을 번역한 글 입니다. 오역과 의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기록을 남기기 위한 이유로 이곳에 존재합니다. an updated version of this blog post with React Hooks 이 글을 읽어주세요! 또한 보다 일반적인 개념인 "제어의 역전"에도 관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난주 @notruth(downshift 프로젝트의 새로운 컨트리뷰터)는 "closeOnSelection" 속성(박스에서 복수 선택을 했을시) 이슈를 추가해주었습니다. 여러분이 진정으로 알아야 할 것은 특정 시나리오에서 유저의 동작에 기초하여 downshift가 어떻게 상태를 업데이트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notruth가 구현에 대해 원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Javascript undefined/undeclared/null and NaN 🧟

    헷갈릴수 있는 undefined/undeclared/null 과 NaN에 대하여 정리하려고 합니다. undefined (아무런 값도 할당되지 않았다) 변수가 선언이 된 이후에 undefined로 초기화된 상황입니다. 스코프에 변수가 선언이 되었으나 아직 아무런 값도 할당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변수는 선언 -> 초기화 -> 할당의 순서를 가지게 됩니다. var의 경우 호이스팅이 일어나게 될때 선언이 끌어올려지고 undefined로 초기화가 이루어 집니다. var test; console.log(test) // undefined console.log(typeof test) // undefined undeclared (선언조차 되지 않았다) console.log(name) // Uncaught Ref..

    React React-query InfiniteQuery 예제 ∞

    React 쿼리의 InfiniteQuery 사용에 대한 한글로 된 예시가 많은것 같지 않아 작성해보려 합니다. React-query의 InfiniteQuery를 사용하면 다음 page의 데이터를 간편하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준비해줘야 할것은 pageParam을 입력받는 api 요청 함수, getNextPageParam에서 pageParam을 올려주면 됩니다. keepPreviousData 옵션을 이용하면 다음 데이터가 fetching 되기 전까지 이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고 getPreviousPageParam와 fetchPreviousPage를 이용하면 이전 페이지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 도 있습니다. 정말 다양한 옵션과 쓰임새가 있을 수 있는데 기본이 가장 중요하므로 기본만 구현된 예제를 작성해 보..

    이모티콘 [백준 14226] - python

    이모티콘 [백준 14226] - pytho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OJ14226() : S = int(input().strip()) graph = [[-1 for _ in range(S+1)] for _ in range(S+1)] # 개수 별 최소 시간 graph[1][0] = 0 def bfs() : queue = deque() queue.append([1, 0]) while queue : curr_node, curr_clip = queue.popleft() # 클립 보드에 현재 화면에 있는 것을 넣는 과정 if graph[curr_node][curr_node] == -1 : graph[curr_node][curr_node] = graph..

    Browser B/F cache 💰

    B/F cache는 Back/Forward Cache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뒤,앞으로 이동할때 로드를 빠르게 하기위한 동작입니다. 브라우저에서는 이전 페이지를 snap shot을 찍어서 메모리에 올려놓습니다. 사용자가 뒤로 가기를 하면 메모리에서 가져와 그대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이전 페이지에서 리소스들의 요청을 보내지 않을 수 있고, 스크립트의 재실행 또한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빠르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호환성 safari, firefox에서는 전부 지원되어 왔었고 chrome에서는 버전 86부터 점진적으로 적용해왔다가 버전 96부터는 모든 chrome 유저가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되고 있다고 합니다. bfcache 기본 사항 bfcache는 페이지..

    네트워크 Browser 요청의 제한🌱 (HTTP/1.1,  HTTP/2)

    네트워크 Browser 요청의 제한🌱 (HTTP/1.1, HTTP/2)

    HTTP/1.0, HTTP/1.1 프로토콜을 이용할때는 브라우저에서 동시에 요청을 보내는 개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그래서 HTTP/1.0, HTTP/1.1 프로토콜을 이용할때는 외부 resource를 요청할때 예상치 못한 delay를 경험할 수 도 있습니다. css, js일 경우에는 inline으로 변경을 하거나 npm을 이용하거나 webpack과 code split을 적절히 이용, http/2 프로토콜로 변경, 브라우저 요청 제한은 한 도메인에만 해당하므로 여러 도메인에서의 요청으로 변경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http/2는 nginx에 http2 모듈을 설치하면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글은 http/1.1을 이용할 때 브라우저에서의 요청 제한에 대해 알아보고 그 외에 의식의 흐름대로 ..

    React 글자 4개로 React 컴포넌트 최적화 가능(번역글) 🤔

    React 글자 4개로 React 컴포넌트 최적화 가능(번역글) 🤔

    제목이 클릭을 유발하는 자극적인 글일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는 사실이다. 아래 두개의 예제를 살펴보자 // 예제 1 const Counter = ()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 Number.parseInt(window.localStorage.getItem(cacheKey)) ) useEffect(() => { window.localStorage.setItem(cacheKey, count) }, [cacheKey, count]) return ( Count: {count}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 ) } // 예제 2 const Counte..

    디자인 패턴/싱글턴 패턴 🆘

    (최근에 이벤트 루프를 디자인 패턴으로 잘못 설명하여 다음엔 그러지 않기 위하여 이 포스트를 포스팅 합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설계를 할 때 사용되는 패턴으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제가 이해한 흐름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설계를 할때 반복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에 직면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들은 고착화 되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메모리를 save하기 위해 전역 범위에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해두고 의존성이 주입되면 그때 이미 생성된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와 같이 매번 말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패턴에 이름을 붙여 좀 더 간단하게 소통할 수 도 있을 것..

    Javascript intersection observer api 👀

    Javascript intersection observer api 👀

    1번 상황 서비스하고 있는 사이트에 이미지가 2200개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웹의 로드와 동시에 2200개의 이미지를 전부다 받아와야 한다면 사용자는 기다리는 동안 커피를 사올수 있고 세차도 가능할 지도 모릅니다. 2번 상황 3500개의 DOM 객체가 있고 이들이 화면에 나타나면 색깔이 변해야 한다는 기획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css의 animation 속성을 이용해 색깔을 계속 바꿔지도록 할 수도 있어서 화면에 나타나고 딱 한번만 색깔이 바뀌어야 한다고 조건을 추가하겠습니다. scroll 이벤트를 걸고 모든 DOM 객체들의 getBoundingClientRect를 이용하여 뷰포트 내의 위치를 가져오고 이를 이용하여 클래스를 변경해주는 방식도 있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getBoundingCl..